백남준 공식 웹사이트
TV as a Creative Medium
Video Art의 효시
1965년 소니사의 포타팩(portapack)을 판매했을 때, 시판 첫날 그 기기를 구입하여 성 바오로 6세의 뉴욕방문 기념 행진을 촬영하여 카페 아 고고(Cafe a GoGo)에서 비디오 테이프 예술을 선보인 것이 최초의 일이다.
인터뷰
"아직 기술이 원시단계에 머물러 있던 시절, 우리는 고의적으로 사회를 뒤흔들어 놓고 싶었다. 나는 전자분야에서 반항아였고, 기꺼이 불청객 역할을 맡았다." - 백남준
ART & Technology
-by Florence de Meredieu (플로랑스 드 메르디외)
예술과 기술은 항상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어 왔다. 오래전부터 예술가들은 그들 자신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복잡하고 새로운 표현 수단이나 노하우에 언제나 의지해 왔다. 기술은 결코 중립적인 방편에 머무르지 않는다. 예술가는 기술을 자기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 적잖은 노력을 기울려야 하며, 기술이 부과하는 저항을 극복해야 한다. 기술은 예술가에게 끊임없는 도전을 촉구하며, 마티에르를 가지고 작업하는 예술가는 도구와 기술을 최대한 자기 것으로 내재화함으로써 도전에 응할 수밖에 없다. 이리하여 마침내 성공을 거둔 예술가에게 도구와 기술이 표면에서는 자취를 감추는 반면, 예술의 장에서는 마치 예술가가 거둔 승리의 표상인 양 빛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1. 백남준과 Fluxus의 관계
2. 백남준의 Sound Interactive Art 혹은 Synthesizer예술
3. 백남준의 예술과 선(Zen)의 관계
4. 백남준의 인공위성 공연
5. 백남준의 Installation
위 5가지 주제중 하나를 선택하여 중간고사기간에 제출하세요.
연세대학교 디지털 표현 클래스 친구들!
빌 비올라 (Bill Viola)
"비디오에서 고정된 이미지란 존재하지 않는다. 항상 모니터 화면에는 전자가 주사되기 때문이다. 빈 화면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화면은 오로지 시스템을 끄고 완전히 코드를 뽑아 놨을 때에만 침묵과 부동성을 나타낸다."
빌 비올라의 복잡한 예술세계에는 세가지 지배적인 요소가 있다.
첫째는 예술가가 자연과 물질의 질감에 보이는 관심이고,
두번째는 그가 제작하는 '설치작품'이나 '장치'가 지적이란 점이며, 마지막으론 인간의 통상적 제스처나 의식(태어남, 죽음, 걸음, 수영, 잠, 숨쉬기 등)에 집착한다는 점이다. 그런가 하면 사원소(물, 공기, 흙, 불)가 언제나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빛과 열의 재현, 또한 빛과 열에 의해 대상이 변형되는 여러 양상은, 사하라 사막에서의 신기루 현상을 소재로 한 비디오 작품 <자리드 호(빛과 열의 초상, A Portrait in Light and Heat)>(1979)의 핵심을 이룬다. 우리는 비올라 이후 설치작품들에서 비디오가 물 흐르듯하고 항시 액체의 성질을 나타내는 가운데, 이미지가 폭발 내지 소멸하기 직전 모습을 나타내는, 파편화와 용해현상을 시종일관 목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크로싱 The Crossing>(1996)에서는 달리는 남자의 모습이 점차로 뚜렷이 나타남에 따라 물과 불이 서서히 합쳐지는 광경을 보게 된다.
<참조> 예술과 뉴테크놀로지-비디오, 디지털 아트, 멀티미디어 설치예술
플로랑스 드 메르디외, 정재곤 역 , 열화당
<죽음 The Passing>(1991)은 낭뜨-삼면작(Nantes-Triptycon)에 나온 비올라의 어머니의 죽음과 아들의 탄생을 비올라 자신의 꿈의 이미지의 편집으로 나타냈다. 이 작품은 내러티브적 토대를 위한 단일한 모티브를 사용한다.
한 남자가 밤에 잠을 잔다. 그의 존재함은 꿈의 이미지로서 이런 프레임워크 안에 끼워 넣어진 이미지로 정의한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비올라의 가족을 나타낸 다큐멘터리 이미지이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밤의 풍경의 숏트(shots)와 수면 아래의 장면은 추상적인 경향이 있다. 내러티브 구조는 꿈과 같이 정확하게 논리적이지 않으나 연상적인 원리로 나아가고 있다. 꿈의 이미지는 나무와 함께 캘리포니아 사막의 풍경과 통과하는 차의 헤드라이트의 끊임없이 켜져 있는 불빛에 의해 몽상적으로 나타난다. 빛은 이 작품의 중요한 문제를 푸는 열쇠이다. 수면 아래 장면은 극적인 전략으로 차의 헤드라이트, 집의 출입구 위의 불, 그리고 할머니가 손자의 생일을 위해 잡고 있는 촛불의 빛은 인간의 인생 혹은 존재의 상징이다. 수면 아래에 빠진 사람은 계속해서 내려간다. 이 작품은 근원적인 행로 즉 흐름으로 삶과 죽음에 직면함에 관계한다. 즉음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새로운 아이의 탄생에게 까지도 수면 아래 빠진 고통스러운 사람의 숏트는 더 분명하게 옷이 느슨해지면서 물 안에서 움직임 없이 표류한다. 이 작품의 주목적은 비올라의 어머니의 죽음에 산재해 있다. 그녀의 최후에 플래쉬백 숏트와 자신의 첫아들의 탄생을 함께 대조적으로 삽입한다. 이것은 새로운 탄생 조차도 끊임없는 죽음에 대한 언급으로 이 작품의 마지막 롱테이크 장면으로 절정에 이른다. 비올라 자신이 물에 빠져 바닥에 움직임없이 누워있는 장면이다. 이 작품은 근원적인 흐름이 결국은 죽음에 귀착함을 알 수 있을것이다.
- 비올라와 힐의 '주관적 시간성'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연구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n the ' Temporality as Subjectivity' in video Art of Bill Viola and Gary Hill, 1997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미술이론전공 김경미
2009년 3월 26일 목요일
2009년 3월 24일 화요일
발표순서 II
28 성미향
29 김종경
30 편정호
31 황세영
32 김현아
33 조효선
34 송다연
35 은소영
36 황혜연
37 이정훈
38 황태영
39 김슬기
40 김은혜
41 이은정
42 윤상윤
43 김효정
44 김은지
45 서자연
46 김수진
47 김다현
29 김종경
30 편정호
31 황세영
32 김현아
33 조효선
34 송다연
35 은소영
36 황혜연
37 이정훈
38 황태영
39 김슬기
40 김은혜
41 이은정
42 윤상윤
43 김효정
44 김은지
45 서자연
46 김수진
47 김다현
2009년 3월 20일 금요일
혹 참고도서를 문의한 친구들을 위하여...
어제 금요일오후 학교서점에서 문의가 왔더군요. 공식적인 참고도서가 있는가라는 것이었는데
이미 언급한 봐 공식적으로 꼭 사서 수업중 들고 와야하는 것은 없습니다.
다만 수업계획서에 참고문헌을 매주 내용 요약 옆 난에 기재해났는데
특별히 개인적으로 더 공부하고 싶은 학생을 위해서 Digital Art란 책은 전체를 개괄해볼 수 있어서 좋은것 같아요.
저자는 Christiane Paul이라고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영향력있는 큐레이터이자 이론가입니다. 그녀가 NYU에서 클래스를 갖지는 않았지만 한 번 특강을 한 적이 있어 직접 만나보기도 했습니다.
이 책은 제가 뉴욕으로 유학가기전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원서로 구입했는데 아트관련 출판 전문인
Thames & Hudson world of art에서 나온 책입니다. 현재 우리 클래스의 진행으로는 읽어도 좋을듯 합니다.
그외에 책은 인터랙티브 디자인이나 아트에 특화되 있어서 우리 클래스를 위해서는 특별히 살 필요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수업을 진행하면서 연관된 좋은 서적은 다시 이야기 해드리겠습니다.
현재 교수님들끼리 스터디 중인 좀더 검토를 해봐야 할 책도 하나 있거든요.
책은 아마 교보에서 인터넷주문 및 배송이 되지 않을까요!
이미 언급한 봐 공식적으로 꼭 사서 수업중 들고 와야하는 것은 없습니다.
다만 수업계획서에 참고문헌을 매주 내용 요약 옆 난에 기재해났는데
특별히 개인적으로 더 공부하고 싶은 학생을 위해서 Digital Art란 책은 전체를 개괄해볼 수 있어서 좋은것 같아요.
저자는 Christiane Paul이라고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영향력있는 큐레이터이자 이론가입니다. 그녀가 NYU에서 클래스를 갖지는 않았지만 한 번 특강을 한 적이 있어 직접 만나보기도 했습니다.
이 책은 제가 뉴욕으로 유학가기전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원서로 구입했는데 아트관련 출판 전문인
Thames & Hudson world of art에서 나온 책입니다. 현재 우리 클래스의 진행으로는 읽어도 좋을듯 합니다.
그외에 책은 인터랙티브 디자인이나 아트에 특화되 있어서 우리 클래스를 위해서는 특별히 살 필요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수업을 진행하면서 연관된 좋은 서적은 다시 이야기 해드리겠습니다.
현재 교수님들끼리 스터디 중인 좀더 검토를 해봐야 할 책도 하나 있거든요.
책은 아마 교보에서 인터넷주문 및 배송이 되지 않을까요!
2009년 3월 19일 목요일
오늘 발표 하느라 수고 많았어요!
모두들 굿잡! 주말에 발표순서 올려줄게요. 다음주도 기대합니다. 그리고 덧글을 더 많이 추가했는데
선택동기에 대해서 꼭 언급해주었으면 해요.
씨유 데어 유가이즈!
선택동기에 대해서 꼭 언급해주었으면 해요.
씨유 데어 유가이즈!
2009년 3월 12일 목요일
디지털 표현 - 1st homework
# 자신에게 인상적인 디지털표현의 예를 URL 혹은 DVD로 준비하세요.
어떤 시각매체, 영상매체, 소리매체의 작품이등 상관없고 스토리텔링이나 작은 드로잉도 상관없습니다.
무엇이든지 OK, 다만 선택한 동기나 이유가 분명해야함.
1. 이 렉처 블러그의 덧글에 학번과 이름을 꼭 쓰고 다음과 같이 제목과 출처를 밝히고 저장합니다.
ex) 학번 이름
video projection geante
http://www.youtube.com/watch?gl=KR&hl=ko&v=3K_flqBAgok&feature=related
music video
***덧글을 달때는 먼저 로그인하고 gmail 계정 등록을 해야합니다.
0개의 덧글이라고 써있는 곳에 클릭하면 덧글을 달 수 있습니다.
2. 다음 수업 시간(3월19일)에 presentation을 합니다.
ex) 나는 이러저러한 동기와 이유로 이 작품이 인상적이며 이 작품(상품)은 이런 특징과 내용이 있다. 등등등
작품 발표는 가져온 USB나DVD,ppt,URL무엇이든 가능하나 클래스메이트들이 다 보고 들을 수 있게 앞에 나와서 할 예정입니다.
어떤 시각매체, 영상매체, 소리매체의 작품이등 상관없고 스토리텔링이나 작은 드로잉도 상관없습니다.
무엇이든지 OK, 다만 선택한 동기나 이유가 분명해야함.
1. 이 렉처 블러그의 덧글에 학번과 이름을 꼭 쓰고 다음과 같이 제목과 출처를 밝히고 저장합니다.
ex) 학번 이름
video projection geante
http://www.youtube.com/watch?gl=KR&hl=ko&v=3K_flqBAgok&feature=related
music video
***덧글을 달때는 먼저 로그인하고 gmail 계정 등록을 해야합니다.
0개의 덧글이라고 써있는 곳에 클릭하면 덧글을 달 수 있습니다.
2. 다음 수업 시간(3월19일)에 presentation을 합니다.
ex) 나는 이러저러한 동기와 이유로 이 작품이 인상적이며 이 작품(상품)은 이런 특징과 내용이 있다. 등등등
작품 발표는 가져온 USB나DVD,ppt,URL무엇이든 가능하나 클래스메이트들이 다 보고 들을 수 있게 앞에 나와서 할 예정입니다.
2009년 3월 11일 수요일
Analog & Digital
디지털(d)이란 손가락이란 뜻을 가지는 라틴어 디지트(digit)에서 유래.
여기서 손가락은 하나하나 구별하여 세는데 사용되므로 지속과 단절이 확실한 이산적(discrete)인 성질을 나타낸다. 즉 연속적인 데이터를 0과 1의 두 가지 상태로만 생성하고 저정하고 처리하는 전자기술이 우리가 배우고 말하는 디지털이다.
아날로그(analog)는 비슷하다(analogous)는 말에서 파생되어 나온 것으로 연속적(continuous)라는 의미를 갖는다.
# Analog와 Digital의 특성을 생각하여 표현해보기
여기서 손가락은 하나하나 구별하여 세는데 사용되므로 지속과 단절이 확실한 이산적(discrete)인 성질을 나타낸다. 즉 연속적인 데이터를 0과 1의 두 가지 상태로만 생성하고 저정하고 처리하는 전자기술이 우리가 배우고 말하는 디지털이다.
아날로그(analog)는 비슷하다(analogous)는 말에서 파생되어 나온 것으로 연속적(continuous)라는 의미를 갖는다.
# Analog와 Digital의 특성을 생각하여 표현해보기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