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3월 20일 목요일

I am sorry about my mistake in Digital expression class today.

수진이의 레포트를 발표 하는쪽에 분류하고 미처 준비되지 않아 다음주에 발표하는 친구들쪽에서 못찾은 수업 시간에 있었던 해프닝을 미안하게 생각해요. 일단 내가 치우친 실수를 했는데 너무 기분 나쁘게 생각하지 말고 하나의 기회로 생각하길... 교수가 수많은 학생들 중에서 확실하게 기억하는 인물이 된다는 것은 앞으로 수업에 충실하게 참여하는 것이 뒷따르면 분명 나쁘지 않은 기회이지.
그리고 이번을 기회로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잘 활용했으면 합니다. 수업시간에 복제성, 복수성, 간접성을 이야기했는데, 자신이 제작한 레포트 혹은 파일 등을 저장하는 습관 그리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백업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합시다. 파일 들은 복제 가능하기에 다음 과제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고 일정 기간동안은 가지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또한 복수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 여러분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올라갈 수록 자신의 디자인 작업들과 디지털 웍스 등을 몇달에 걸쳐 애써 만들텐데 컴퓨터에 하나, 외장하드에 하나, CD 혹은 DVD에 하나, 홈페이지나 블러그 등에 하나씩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나의 불행한 예로 500기가 외장하드의 중요 파일이 외부적 손상으로 망가져 지금 60만원 비용을 지불하고 복구 중에 있습니다. 다른 것은 모두 다른 곳에 저장되어 있는데 몇몇의 중요한 자료가 백업되어 있지 않더군요.
자! 디지털 세대의 친구들은 아날로그 세대의 나와는 확연히 다른 습관으로 표현하고 자기 색을 만들어 가도록!
다음주 목요일 전에 블러그에 덧글 올리는 것 잊지 말고!
화이팅!!!

댓글 23개:

유하정 :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유하정 :

유하정

http://blog.naver.com/amen9019?Redirect=Log&logNo=110015318855&vid=0

나는 인터렉티브 아트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게 되어서 이 영상을 골라봤다.
이 영상은 관객이 스크린 앞에 있는 발자국
모양을 밟으면 그에 맞춰서 각각의 그림과
소리가 나오는 것을 찍은 것인데, 내가 생각하는 인터렉티브 아트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고 또 이들을 참여시킴으로써 예술을 대중화하는데 앞장서는 그런 아트라고 생각한다.

이지한 :

http://www.fubiz.net/blog/index.php?2008/03/01/1466-justice-dvno

디지털표현 영상을 찾는 과제를 받고
여러가지를 찾아보다가 너무 심오하고
어려운거같아서 교수님께서 보여주신 영상과는 조금다르지만 이영상도 디지털표현고 재밌어서 찾아봤습니다.
이영상은 justice라는 그룹에 dvno라는 노래입니다.
dvno는 가사를 재밌게 디지털로 표현해서 관심을 갖게하고 색감이라던가 음악과 영상이 서로 박자도 맞고 어울리면서 흥미를 끌어서 처음들어보는 음악인데도 끝까지 들을 수 있는 매력이있었습니다.

이아침 :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이아침 :

http://blog.naver.com/fhiw1360?Redirect=Log&logNo=140048813182&vid=0 조PD의 My Style 뮤직비디오입니다. 이 뮤직비디오는 상당히 충격적이었습니다. 이 뮤직비디오는 나온지 7년이나 지났지만, 이 뮤직비디오를 잊을 수 없는 이유는 얼굴을 만든다는 모티브와 그를 따라주고 있는 CG,그리고 디지털적인 분위기와 표현이었습니다. 감명적인 장면을 찾기에는 뮤직비디오 자체가 너무나 압도적이었습니다. 지금은 훨씬 더 멋진 CG가 나오지만
제게는 잊을 수 없는 우리나라 CG에 최고봉이었습니다

하헌성 :

http://www.audi.co.kr/microsite/r8/html/index.html

이 동영상은 아우디의 첫 고성능스포츠카 R8의 홍보 동영상입니다. 제가 이 동영상을 고른 이유는 자동차를 좋아하는 이유도 있지만, 이번에는 디지털의 힘에 인상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이 동영상은 처음부터 끝까지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컴퓨터그래픽으로 한 것이 위험부담도 더 줄어들고 시간도 더 적게 들 거라고 생각됩니다.
보여드린 영상에서 실제와 비슷하게 스포츠카의 속도감 있는 움직임을 잘 표현하였습니다. 그러나 동영상을 보면 절벽근처의 도로를 달리는 장면을 실제로 찍으려면 헬리콥터를 동원해야해서 막대한 비용과 위험부담이 들게됩니다. 그러나 디지털의 힘으로 그런 위험 없이 자유롭게 표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장면 중에 슬로우 모션처럼 느리게 연출되면서 다른 공간으로 바뀌는 부분이 있는데, 실제에서 이와 같이 찍으려면 여러 장소를 돌아다녀야하는 시간이 걸리고 장소도 어느 정도 제한 받지만, 컴퓨터그래픽의 힘을 사용하면 스케일의 제한도 없어진다는 사실에서 인상 받았습니다.

장호 :

-경향신문 창간 60주년 기념 디지털아트 초대전 = 작품 명: 마을
=>시온잉크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영상을 투사하고 그 위에 바람을 불어 관객들이 직접 그림을 그려서 볼 수 있는 작업입니다.
http://blog.naver.com/topmok/70024237893

-interactive vision 동영상링크
=> 바닥에 너무나도 다양한 컨텐츠로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그 안에서 놀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인식도 빠르고 사람들 반응도 좋은것 같습니다.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NFPlayer.swf?vid=318CDD1848694D4C156B04CC676647DAE467&outKey=1c2c0393cd22790c5701bbd8b0f3c9e8a034dc43a6b121820c6a16491399dd4912832e972e451ef570eca4b7eb82a49a

최혁진 :

최혁진

http://www.youtube.com/watch?v=RMWXyEHoN88

이것은 그룹 a-ha의 뮤직비디오로써
하나하나 손으로 그려서 만들었는데
그 노력과 비주얼에 감탄사가 나옵니다.
그리고

http://www.youtube.com/watch?v=XRDi67G0Siw

The white stripes - fell in love with a girl
이 뮤직비디오는 사실 진짜 레고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저는 이 뮤직비디오를 처음 보았을 때 아이디어와 기술력에 감탄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우리가 평소 알고있던 레고를 사용하여 뮤직비디오를 만들고 맨 위의 뮤직비디오와 비교하여 그 과정을 간편하게 만드는 디지털의 기술이 매우 인상깊었습니다.

윤예슬 :

http://www.paikstudios.co.kr/gallery/p_006.jpg

저는 백남준 선생님의 1988년 작품 '다다익선'을 골라보았습니다.
워낙 유명한 작품이라 이미 대중화적인 작품이기도 하지요. 하지만 제가 이 작품을 처음 접했을 때에는 엄청난 충격이었습니다. 취학전, 저희 어머니께서는 세계명화나 전시품들을 보여주셨는데 하루는 백남준 선생님의 '다다익선'이란 작품을 보여주셨습니다. 어린 나이에 예술이 뭔지도 몰랐지만 캔버스에 그려진 그림이란 예술만 보다가 디지털로 표현된 예술을 보았을때의 참신하고 신선한 충격을 잊을 수 없어서 이 작품을 골랐습니다.

주세훈 :

http://www.youtube.com/watch?v=v7jT5BIaKG8

Easy life 라는 제목의 PEUGEOT자동차회사의 광고동영상으로 지루한 생활속에 자신만의 상상력을 디지털애니매이션으로 표현해서 재밌게 만들었다.
현실에서는 가능하지 못한일들을 디지털로 표현해서 만들어냈다는게 인상깊어서 이 영상을 골라봤다.

진무곤 :

http://youtube.com/watch?v=su_zrW9WBVk

난 음악에 관심이 많다
그래서 뮤직비디오를 감상하다보면
가끔식 다른 뮤직비디오들과는 달리
디지털로 표현된 뮤직비디오들을 볼수있었는데 기억에 남아서 발표과제로도 좋은거 같았다 저 뮤직비디오는 요즘 가장뜨고있는 래퍼 Kanye west 라는 래퍼의 good life 란 노래 뮤직비디오이며 영상을 프로듀싱 맡은사람은 so me 라는 사람인데 so me 라는 사람은 저런식의 디지털로 표현한 뮤직비디오를 만들고있어 개인적으로 아주좋아한다
일반적으로 스토리가있는 뮤직비디오들보다 디지털로 표현한 뮤직비디오는 비쥬얼적으로 좀더 신선하게 느껴지고 색감,분위기 가사를 디지털로 표현해 어려운랩을 쉽게 접할수있게하는등 많은 매력을 가진거같다.

이성진 :

안녕하세요 이성진입니다.

전 반지의제왕이 아주 인상 깊었는데, 픽션을 사실처럼, 마치 역사속에 실제 있었던 일처럼 표현한것이 기억에 남았습니다.

http://blog.naver.com/wooya35?Redirect=Log&logNo=30010691687

장누리 :

장누리
http://youtube.com/watch?v=F0AgwJj4d3o

인터렉티브 아트에 대해 조사하다 알게된 영상입니다.
일본 츠쿠바 대학의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BCP라는 팀에서 만든 작품으로 siggraph에 출품한 것입니다.
센서를 이용하여 비누방울에 여러 색이 보이는 시각적인 효과와 비누방울을 터트렸을때 소리가 나도록 작업했습니다.
제가 작품을 처음 봤을때, 어렸을때 해본 비누방울 놀이가 떠 올랐고 어렵다고만 생각했던 인터렉티브 아트에 대해 조금 쉽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어렸을때의 동심을 표현한것이 좋아 이 작품을 선택했습니다.

배윤찬 :

http://web.media.mit.edu/~kimiko/iobrush/iobrush_quicktime_small.mov

디지털의 특성중 하나는 정확한 정보의 저장기능과 원본과 똑같은 복제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따라서 영상이나 그림, 기호, 소리 등을 원본과 똑같이 만들어 낼 수 있고, 시간에 흐름이 아닌 공간의 위치에 저장이 됩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만든 디지털아트 영상중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io brush 였습니다. 붓 끝부분에 카메라가 달려있어서 물체의 형태나 색상,동작 등을 카피 하여 스크린에 똑같이 옮겨서 그릴 수 있다는 것이 매력적이었습니다.

김건주 :

김건주

디지털표현수업의 첫 과제인 디지털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면서 많은 싸이트를 다니며 이것 저것둘러보았다. 많은 디지털아티스트들의 작품은 개개인의 특성과 개성을 잘 표현하였다. 복잡하면서도 깔끔함을 유지하고 또한 안정감과 다양한 조합과 변형을 토대로 디지털아트 작품이 우리에세 보여지는것 같다. 아마 그런 특성이 나를 이끌었는지도 모른다. 첫번째 URL은 디자인 매직박스 아트디랙터로 계시는 송기성씨의 홈페이지이다. 산업디자인틱하면서도 우리가 지금 많이 쓰고있는 IPOD의 내부화면및 외부화면의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다. 이외에도 그의 손을 거친 많은 전자제품이 있다.
1. www.gekodesign.com
두번째는 William MacCauley 디지털아티스트의 싸이트이다. 꽃들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그들을 배열하여 다양한 문양을 형성한것을 보여준다. 또한 각각의 꽃은 계절이라는 테마를 함축하고 있으면 그 계절에 맞는 색감과 형태를 보여준다.
http://www.art.net/Studios/Visual/Billm/

깔끔하고 섬세한 것..이것이 디지털아트의 또다른 매력이 아닌가를 생각해볼수 있었던 과제였던것 같다.

김건주 :

김건주

디지털표현수업의 첫 과제인 디지털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면서 많은 싸이트를 다니며 이것 저것둘러보았다. 많은 디지털아티스트들의 작품은 개개인의 특성과 개성을 잘 표현하였다. 복잡하면서도 깔끔함을 유지하고 또한 안정감과 다양한 조합과 변형을 토대로 디지털아트 작품이 우리에세 보여지는것 같다. 아마 그런 특성이 나를 이끌었는지도 모른다. 첫번째 URL은 디자인 매직박스 아트디랙터로 계시는 송기성씨의 홈페이지이다. 산업디자인틱하면서도 우리가 지금 많이 쓰고있는 IPOD의 내부화면및 외부화면의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다. 이외에도 그의 손을 거친 많은 전자제품이 있다.
1. www.gekodesign.com
두번째는 William MacCauley 디지털아티스트의 싸이트이다. 꽃들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그들을 배열하여 다양한 문양을 형성한것을 보여준다. 또한 각각의 꽃은 계절이라는 테마를 함축하고 있으면 그 계절에 맞는 색감과 형태를 보여준다.
http://www.art.net/Studios/Visual/Billm/

깔끔하고 섬세한 것..이것이 디지털아트의 또다른 매력이 아닌가를 생각해볼수 있었던 과제였던것 같다.

강인기 :

http://www.youtube.com/watch?v=PLhMVNdplJc

Jeff Han의 멀티터치 시스템에 관한 시연회 동영상입니다. 디자인이라기보단 IT쪽에 가깝지만 디자인적 관점으로도 접근한다면 상당히 인상깊은 테크닉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실용화된 터치 스크린의 한계를 뛰어넘어서 열손가락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멀티 터치라는 점에서 이것이 만약 실용화된다면 상당한 변화가 예상됩니다. 기존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단순화는 물론 프로그램의 다양성 등이 기대가 됩니다.

익명 :

http://kr.youtube.com/watch?v=CBgf2ZxIDZk

chemical brothers의 star guitar M/V

노래의 비트와 연속되는 영상이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는 M/V입니다.

디지털이 발전되지 않았다면, 스탭들은 엄청난 시간이 필요했고 어색학 표현(완성도)때문에 어디언스들은 관심을 가지지 않았을 것이다.
디지털의 장점들을 이용한 이 작품은 새로운 아이디어, 독창적인 표현력, 높은 완성도. 이 3가지의 완벽한 조화로 나뿐만 아니라 모든 어디언스 관심과 흥미를 불어일으킬수 있었다.

곽진욱 :

http://www.diodeo.com/id=soulme&movie=000759600&pt_code=01

박진영의 일명 '바닥댄스'라고 불리는 퍼포먼스 입니다. 한 가요프로에서 컴백무대에서 보여줬던 퍼포먼스인데 카메라 앵글을 완전 위에서 잡고 박진영과 댄서들이 바닥에 누워 바닥에서 재생되는 디지털 작품에 맞춰 퍼포먼스를 합니다. 화면상으로는 박진영과 댄서들이 하늘을 나는 듯한 동작도 있고 공중에서 맴도는 듯한 동작도 있습니다. 교수님이 보여주신 작품들이나 다른 학생들이 보여준 뮤직비디오와는 다르지만 디지털 영상 작품과 실제 사람의 퍼포먼스가 어우러져 또다른 작품을 창작할 수 있다는 것이 참신한 아이디어라 소개하고 싶었습니다.

김경화 :

메일로도 보냈는데
메일주소가 확실히 모르겠어서
여기도 올려요ㅠ
저는 저번 시간에 애니 메트릭스를 했었는데 조금 부족한거같아서 다른것도 같이 했어요~
애니 메트릭스-http://www.mncast.com/outSearch/mncPlayer.asp?movieID=10004877420071120042030&player=6

이것은 애니 매트릭스인데 디지털을 생각하다가 메트릭스가 생각나서 찾아봤는데 찾다보니 애니메트릭스도 보게되었습니다.
평소에 메트릭스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와 많이 달라서 인상적이어서 이것을 하게 되었습니다.

http://www.mgoon.com/view.htm?id=1206470

http://blog.daum.net/nambaone/10369956

http://www.muz.co.kr/ucc/player.html?type=mbox&key=165210006462199&p=daum

이거는 시세이도 슬램덩크 cf입니다.
제가 예전부터 인상이 깊어서 홈피에 담아놓기도 했던것인데 처음거는 연필로 그려서 실제로 움직이는것 같은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또 친근하고 익숙한 슬램덩크를 '이렇게도 사용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른하나는 큰그림을 사람혼자 그리는것이 참대단하다고 생각하고 또 꼭 디지털이아니라도 여러사람으로도 재밌게 표현을 할수있다는것이 기억에 남았습니다.

오우리 :

http://blog.naver.com/sg0512?Redirect=Log&logNo=30028626703

디지털 아트에는 무엇이 있을까 생각하다가 개인적으로 관심이 많은 뮤직비디오에서 찾아야 겠다, 해서 찾아보니 이 뮤직비디오가 나왔습니다. 배경은 실제 건물사진을 여러개 이어 붙인것 처럼 되어 있고 그 외에 다른 움직이는 것들이 애니메이션처럼 되있어서 실제와 가상이 함께 어우러져 있는 모습이 개인적으로 참신하다 생각해서 이 뮤직비디오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뮤직비디오는 보통 연기자들이 나와서 이루어 지는데 비해 외국의 뮤직비디오는 새로운 방식으로 촬영이 되어있어서 더욱 재미있고 독창적인 것 같습니다.

김미정 :

http://ko.fooooo.com/watch.php?id=f4a8dcd0e97230903214e750263316c8

디지털표현이라는 수업자체가 무척이나 생소하고 교수님께서 보여주셨던 비디오 아트들 또한 생소해서 처음에는 잘 이해도 안 가고 큰 재미를 느끼지 못했지만 과제를 찾으면서 제 취향에 맞는 디지털 표현을 찾게 되었습니다.
이 URL은 교수님이 수업 시간에 보여주셨던 것과 유사한 것으로 음악과 디지털 표현이 잘 어울어진 작품중 하나라고 생각해서 올리게 되었습니다.

최수연 :

http://kr.youtube.com/watch?v=qTwcageiJnM

늦어서 죄송합니다! 그래도 늦게나마 올리게 되서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교수님께서 수업시간에 보여주신 Interactive art가 인상 깊어서 유튜브에서 관련 동영상을 찾아본 것입니다. 자극에 반응하는 칵테일바인데, 정말 멋있었습니다. Interactive art를 통해서 이런 재미있는 장치를 만들 수 있다는 게 신기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