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뉴미디어아트(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성은 가상공간에서의 상호작용성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Paul Sermon의 Telematic Dreaming(1992)에서 기존의 전시방식(ex. 전시공간에 조각과 같이 비디오 설치)과 다른 점을 서술하시오. 또한 직접 체험해본 후 자신의 순수한 감상을 서술하시오.(15점) : 부교재 중 한권에 명확한 답이 있으니 참조
2.뉴미디어의 원리 5가지를 쓰고 간단히 설명하시오.(5점) : [뉴미디어의 언어]참조
3. 전통적인 예술인 회화와 조각과 달리 미디어아트는 중요한 개념이 있다. 그 개념을 서술하시오.(10점) : [뉴미디어 아트] 중 서론(p.7~18) 참조
4.미디어 시티 서울2010, 인천국제디지털아트페스티벌2010, 2010부산비엔날레, 2010광주비엔날레 4개의 전시 중에서 가장 인상적인 미디어아트 작품 하나를 선정해서 그동안 연구한 뉴미디어아트의 역사와 뉴미디어의 언어에서 내용을 첨가하여 비평문을 하나 작성하시오.(10점)
5. 백남준과 함께 초기 비디오 아티스트로 부르스 나우만, 비토 아콘치, 조앤조나스는 중요한 인물이다. 이 3 작가 중 작가 한사람을 선정하여 작가의 예술세계 특징과 작품에 대해 설명하시오.(5점) : [뉴미디어 아트]참조
TEXT
<주교재>
1.뉴미디어의 언어,레프 마노비치 지음/서정신 역, <생각의 나무>, 2009
2.뉴미디어 아트, 마이클 러시 지음/심철웅 역, <시공사>, 2003
3.DIGITAL ART, Christiane Paul,
4.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제이 데이비드 볼터, 리처드 그루신 지음/이재현 역, <커뮤니케이션북스>,2008
<부교재>
2.미디어의 이해, 마샬 맥루언 지음/김성기, 이한우 역, <민음사>, 2007
3.예술과 뉴테크놀로지, 플로랑스 드 메르디외 지음/정재곤 역, <열화당>, 2005
4.사이버 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심혜련 지음, <살림>, 2006
의문사항이 있으면 treekhan@hotmail.com으로 문의해주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