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deo Art ArchiveQ.
Bruce Nauman , Corridor 에서
왜 작가는 좁은 통로를 설치해서 비디오 작품을 보여주었을까요?
왜 작가는 설치된 모니터를 관객의 시선보다 아래에 배치했을까요?
왜 작가는 시간차를 두고 관객의 모습을 모니터에 보여주었을까요?
- 예술영화
Eternity and a day에서 주인공은 작가(Writer)와 그의 아내
아내는 죽어 영혼으로 나타나 주인공과 대화합니다.
" 우리에게 내일은 있을까요?","내일은 무엇일까요?"
" 내일은 영원 그리고 하루 더"
부르스 나우만의
는 미술관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가 관객의 모습을 실제시간에 투사함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공간으로의 침입을 유도하였다. 그는 관객이 어떻게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가 하는 심리적 지각을 다루고자 했다. 이 장치는 폐쇄회로 TV를 활용하고 카메라 각도를 조절하고 관객의 시야를 제한함으로써 관객의 기대감을 혼동시킨 것이다. 즉 관객은 그 자신의 이미지를 상당한 시행착오 끝에서만이 TV 화면을 통해서 볼 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객은 '그 자신의 활동의 배우이자 관찰자'가 되는 것이고 공간에서의 그의 경험은 개인적인 것이 된다. 이 작품에서 TV화면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왜냐하면 그것들이 관객이 그 자신의 영사를 볼 수 있는 유일한 길이었기 때문이다. 나우만은 여러개의 유사한 복도 작품을 제작해서 관객이 화면의 사용을 통하여 행위자가 되는 상황을 창조하였다. 나우만은 시간적 경험의 지연과 지속성, 이미지와 영상의 피드백, 동시 녹화와 복제 능력이란 비디오의 기술적 본질을 성공적으로 이용하였다고 평가를 받았다.
비올라와 힐의 '주관적 시간성'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연구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n the 'Temporality as Subjectivity' in Video Art of Bill Viola and Gary Hill,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학 석사학위논문, 김경미
댓글 33개:
경영정보학과
2003507168
주영광
2009709249
전자통신공학과
박경은
2006317029 김현준
2004507114 경영학부 오지민
미디어영상학부
임세연
2008906100
강준규
미디어영상학부
2005317034
컴퓨터 소프트웨어학과
2008720165
윤예진
전정통
2010709021
정희원
2007906058
미디어영상학부
육은진
2008709326
전자공학과
이소현
전정통
2010709108
금규대
2007906006
미디어영상학부
이가람
로봇학부
2010741003
손상훈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2008720030
노형준
전자정보통신공학군
2010709098
이용민
전자정보통신공학군
2010709083
금동신
2010 720 163
컴퓨터 공학군
이창연
로봇학부
2010741055
심재규
미디어영상학부
2009906042
정솔희
로봇학부
2010741079
안진규
미디어영상학부
2009906042
정솔희
전자물리학과
2009602084
강전웅
전자정보통신공학과
2010709001
전용진
2008709319 전자통신공학과 김희옥
작가는 관객으로 하여금, 하나의 작품
안에 참여할 수 있는 "길" 을 세팅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 과,
"영상으로 비추어지는 일" 사이의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관객 자신을 제 3자의
시각으로 볼 수 있게 한 것이라 짐작된다.
비디오 아트의 경우, 일반적 회화와는 달리
시간에 따른 변화 가능성과 의도적인
연속, 불연속적 연출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한 작품일 것이다.
관객은 좁은 길을 지나면서 자신을 조여오는 답답함과 약간의 공포심도 느낄 것 같다.
모니터를 아래에 놓은 이유는 모니터를 보기위해 앉으면 그 공간이 더 좁게 느껴지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시간차를 두어 보여준 것은 과거의 경험을 다시 생각해보도록 하기 위해서인 것 같다.
왜 작가는 좁은 통로를 설치해서 비디오 작품을 보여주었을까요?
-통로는 인간의 삶을 벽은 역경 고난으로 생각된다. 앞으로는 가야되지만 어깨가 벽에 달수밖에없는 저런 좁은통로로 역경 고난속에서 사람은 나아가야한다는 의미를 품고있는거같다
왜 작가는 설치된 모니터를 관객의 시선보다 아래에 배치했을까요?
- 위에서 말했듯이 복도를 고난과 역경을 지나 살아가는 삶이라하면, 사람이 아래있는 카메라를 보고 다가가는것은 힘든 인생살이로 웅크리는 사람이라 생각됩니다. 복도를 지나가는 목적은 아래있는 티비를 보기위해 일것이며, 내포적 의미는 일종의 자아라고 생각됩니다. 점점 웅크려지는 사람은 자아를 찾아온 힘들어진 사람을 표현하기위한 방법인것 같습니다.
왜 작가는 시간차를 두고 관객의 모습을 모니터에 보여주었을까요?
-카메라의 위치는 사람의 뒷편 멀리있으며, 이것은 오래 살아오사람의 자아성찰이며 시간차로 보여주는것은 자신의 경로 즉 인생경로를 되돌아 보라는 메세지가 내포되어있는거 같습니다.
소프트웨어학과 2005720144 박세진
왜 작가는 좁은 통로를 설치해서 비디오 작품을 보여주었을까요?
관객이 외부와 차단되어 작품의 중심이 되길 바라는 것 같다.
왜 작가는 설치된 모니터를 관객의 시선보다 아래에 배치했을까요?
카메라가 찍는 것은 위에서 아래이기 때문에 모니터를 아래로 내려보면서 골목을 지나온 나/그리고 어떤 것을 내려다 보는 느낌을 갖기 위해서.
왜 작가는 시간차를 두고 관객의 모습을 모니터에 보여주었을까요?
골목을 지나는 것은 관객 자신이지만 약간의 시간차를 가지면서 내가 나 자신이 아닌 것같은 다른 누군가를 보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2007722002 장치만
왜 작가는 좁은 통로를 설치해서 비디오 작품을 보여주었을까요?뭔가에 얽매이고 소외된 현대인을 뜻하는 것 같다.
왜 작가는 설치된 모니터를 관객의 시선보다 아래에 배치했을까요? 관객만 보는 작품이 아닌 또 다른 시점에서의 관점을 ㄹ보기를 바라는 듯 하다.
왜 작가는 시간차를 두고 관객의 모습을 모니터에 보여주었을까요?
관객또한 그 관찰의 대상이 될 수 있고, 자기 자신이 관객이 될수 있는 서로의 모습을 또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잇음을 뜻하는 것 같다.
왜 작가는 좁은 통로를 설치한이유?
어떤 알수 없는 길을 혼자 건너는 것처럼 고독감이나 양쪽 벽이 나를 압박하는 압박감을 느껴 보라구 한거 같다.
왜 작가는 설치된 모니터를 관객의 시선보다 아래에 배치했을까요?
마치 전지 전능한 존재 즉 신처럼 높은곳에서 또다른 나를 살펴 볼수 있게 했다.
왜 작가는 시간차를 두고 관객의 모습을 모니터에 보여주었을까요?
현실과 과거에 나에 모습을 비교해 볼수 있게 한거 같다
왜 작가는 좁은 통로를 설치해서 비디오 작품을 보여주었을까요?
전체적으로 한사람의 인생과 사후에 하늘에서 자기모습으 뒤돌아보는것을 표현한것 같습니다. 가족이 이나 동반자가 있더라도 인생은 혼자서 살아가야합니다. 작품에서는 한사람의 어께넓이만큼의 긴 벽을 관람자가 지나가도록 한것은 이것을 표현한것 같습니다. 그리고 관람자가 통로를 지나는 모습은 카메라에 찍혀서 기록됩니다. 이것은 한사람의 인생을 기록한다는 것을 표현한것 같고 통로끝에 다다르고 나면 자신이 통로를 지나온 뒷모습이 찍힌 장면을 볼수있습니다. 이것은 사람이 죽음에 당면했을때 주마등이 스쳐지나간다는 말로 설명할수있습니다.
왜 작가는 설치된 모니터를 관객의 시선보다 아래에 배치했을까요?
화면이 아래쪽에 배치되어있어서 자신이 찍힌 모습을 보려면 쭈그려 앉아서 밑을 보아야하는데 이것은 하늘나라에서 땅에있던 자신을 보는 모습을 관객자신이 표현하게됩니다. 따라서 관객도 작품의 일부분으로 표현된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왜 작가는 시간차를 두고 관객의 모습을 모니터에 보여주었을까요?
관객의 모습을 보여주는데에 시간차를 를 둔것은 관객이 자신이 입장하는 모습부터 볼수 있도록 만들어준 장치라고 생각합니다. 화면에 나오는 시간차도 관객이 걸어오는 시간만큼 둠으로써 도착할때 쯤이면 자신이 모습이 보이도록 만든것 같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