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는 예술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요즘 굳이 어떤 하나의 무엇을 담아야한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특히 상호작용이 중요한 뉴미디어 시대에선 더욱 그렇다. 그러나 예술이 예술로서 존재하기 위해선 어떤 진정성이 있다는 것도 나쁘진 않다. 그것은 무엇일까? 감동? 아니면 이제는 죽었다고 논의 되는 아우라?
미디어아트라는 용어 자체에서도 알수있듯이 단순한 조형물이나 추상화의 아트가 아니기때문에 새로운 미디어아트는 "조화성"을 띄어야 한다고생각합니다. 즉 관객과 작가와의 인터렉션이 공존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 자체의 예술품이 예술작품과 그 예술작품을 이끌어내는 도구와 어떤 상호작용이 있도록 담아내는것도 중요한것같습니다.
특히 현대사회와같은 천편일률적인 도시에서 주변 경관과 상호작용은 이루어져야 한다고생각합니다.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최영선 미디어아트는 기존의 단순히 감상에만 초점을 둔 예술과 달리 지켜보는 이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단순히 컨버스위의 그림을 모니터로 옮겨놓은것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참여를 통해 예술이 서로 소통하는 구조가 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술은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와 인간의 삶을 담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간이 살아가면서 어떤 형태로든 예술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그러기에 살아가는 모습이 담겨져 있고, 소망이나 꿈 같은 것등 사람과 관련된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 중 미디어 아트는 관객과 작품이 서로 소통하는 Interaction이 중요한 예술이다. 작품과 관객이 서로 소통하면서 고전적인 예술보다 더 작품과 관객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것 같다.
소통을 이끌어내려면, 관객이 공감할수 있는 공통분모를 지녀야 할 것이다. 그게 과거의 것이건, 현재, 미래의 것이란것은 중요하지 않다. 나름의 방식으로 관객들이 자신의 모습을 돌아본다거나, 대리만족을 느끼게 한다든지 무언가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하는 감성임팩트를 담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디어 아트에는 새로움을 향한 '호기심'이 담겨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미디어 아트에서 관객들의 참여는 작품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한 요소입니다. 관객들이 참여를 하기 위해서는 보다 새롭고 신선한 인터렉션을 제공, 어떤 결과가 나타날지에 대한 관객들이 '호기심'이 작품에게 다가가는 시작점이라 생각합니다.
댓글 27개:
화학과 2005602108 이정훈
화학과 2007602148 조유리
컴퓨터소프트웨어
2002721134 심휘형
2006730152 전자재료공학과 김동식
컴퓨터 소프트웨어 2002721126 장성환
2008906039전의정
전자통신공학과 2006709126 김지언
컴퓨터소프트웨어 2005720039 배지영
2008906029 미디어영상 강은정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2007720112 최영선
미디어영상
2005317023 이시영
2005317057 미디어영상 김유민
미디어영상학부
2005317063이범구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예술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요즘 굳이 어떤 하나의 무엇을 담아야한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특히 상호작용이 중요한 뉴미디어 시대에선 더욱 그렇다. 그러나 예술이 예술로서 존재하기 위해선 어떤 진정성이 있다는 것도 나쁘진 않다. 그것은 무엇일까? 감동? 아니면 이제는 죽었다고 논의 되는 아우라?
미디어영상 강은정
20089060229
*Art라면 무엇을 담고 있어야 하는가
호기심. 아름다움. 벗어남
자신만의 색.
이러한 것들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0052720039 배지영
제가 생각할때 미디어 아트에는
아이디어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가 하지못했던 기발한 작품이
때론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들입니다
미디어아트란 매체예술이니까 단일방향이든
쌍방향이든 예술을 전달할수있는 매체가 있어야되고 단순히 매체 할수있는 특징만이 아닌 그 매체의 특징을 잘 이용한 의미를 담아 내는것이 미디어아트가 아닐까 합니다.
2002721134 심휘형
미디어 아트는 관객들이 그저 즐기고 신기해 하는 것뿐만 아니라 관객들의 의식의 심리적인 재구성을 해 줄수 있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002721126 장성환
주제를 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주제는 어떤 생각일수도 있고, 시간이나 상황, 노력 등 어떤것이든 될 수 있으며
'일반적이지 않은 무엇'이 그 범위라고 생각합니다.
미디어 아트에는 우선적으로 제작자의 의도를 전달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그냥 아무런 의미도 없이 의도도 없이 작품만 만든다면 그를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불분명하기 때문입니다.
2006730152 전자재료공학과 김동식
미디어아트라는 용어 자체에서도 알수있듯이 단순한 조형물이나 추상화의 아트가 아니기때문에 새로운 미디어아트는 "조화성"을 띄어야 한다고생각합니다.
즉 관객과 작가와의 인터렉션이 공존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 자체의 예술품이 예술작품과 그 예술작품을 이끌어내는 도구와 어떤 상호작용이 있도록 담아내는것도 중요한것같습니다.
특히 현대사회와같은 천편일률적인 도시에서 주변 경관과 상호작용은 이루어져야 한다고생각합니다.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최영선
미디어아트는 기존의 단순히 감상에만 초점을 둔 예술과 달리 지켜보는 이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단순히 컨버스위의 그림을 모니터로 옮겨놓은것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참여를 통해 예술이 서로 소통하는 구조가 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화학과 2005602108 이정훈
미디어아트(아트)는 무엇을 담고 있어야 하는가?
예술은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와 인간의 삶을 담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간이 살아가면서 어떤 형태로든 예술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그러기에 살아가는 모습이 담겨져 있고, 소망이나 꿈 같은 것등 사람과 관련된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 중 미디어 아트는 관객과 작품이 서로 소통하는 Interaction이 중요한 예술이다. 작품과 관객이 서로 소통하면서 고전적인 예술보다 더 작품과 관객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것 같다.
2005217063 미디어영상 이범구
ART라면, 특히 media art라면
필수로 관객과의 소통성을 지녀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통을 이끌어내려면, 관객이 공감할수 있는 공통분모를 지녀야 할 것이다. 그게 과거의 것이건, 현재, 미래의 것이란것은 중요하지 않다. 나름의 방식으로 관객들이 자신의 모습을 돌아본다거나, 대리만족을 느끼게 한다든지 무언가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하는 감성임팩트를 담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디어 아트에는 새로움을 향한 '호기심'이 담겨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미디어 아트에서 관객들의 참여는 작품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한 요소입니다. 관객들이 참여를 하기 위해서는 보다 새롭고 신선한 인터렉션을 제공, 어떤 결과가 나타날지에 대한 관객들이 '호기심'이 작품에게 다가가는 시작점이라 생각합니다.
아트(미디어아트)는 무엇을 담고 있어야 하는가?
아트는 모두가 즐길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받아들이는 사람의 공감을 얻어낸다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2005720024 남소진
미디어 아트은 무엇을 담고 있어야 하는가?
미디어라는 매체에 interaction 요소가 들어가는 idea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관객이 무언가를 공감하거나 새롭게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댓글 쓰기